안녕하세요 쉽게 알려주는 남자 쉽알남 입니다.
글을 보시는 분들은 어떤 통신사를 사용하고 계시나요?
이동통신사업이 생긴지 얼마 안 됐을 땐 기지국이 정말 중요해서 발 빠르게 기지국을 확보한 011(SK)이 가장 인기가 많아 통신 3사 SK KT LG 중에서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었습니다.
(뭐 정부와 이런저런... 썰이 있긴 하지만 그것까진 잘 모르겠습니다.)
여하튼 현재도 SK는 가입자 1위 통신사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제가 11년 넘게 판매를 하면서 각 통신사마다 느낀 차이점과 장단점을 한번 적어볼게요 개인적인 경험과 의견으로 말씀드리는 내용이니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그냥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공감되거나 잘못된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신사품질비교
가장 중요한 통신 문제 부터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통신 3사 중 제일 통신이 원활하고 크게 문제가 없는 통신사는 아직도 SK입니다.
산이나 바다 외지에서도 거의 다 잘 터지는 통신사는 SK뿐입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 간혹 통신이 단절되기도 하지만 통신에 가장 문제가 없고 사건사고도 없는 통신사 임에는 분명합니다.
그에 반해 KT는 산쪽에서는 잘 안 터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산에 많이 다니시는 고객님들중 KT로 개통하셨다가 산 중턱에서 통신이 안 터져서 불편을 겪으신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제 본가도 산쪽인데 사실 도심에서 많이 떨어지지도 않았고 주택단지라 사람들도 꽤 많고 주택도 많습니다.
그런데도 통신에 문제가 있는 걸 보면 KT는 산골 쪽에선 뭔가 잘 안 되는 문제가 따로 있는 거 같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LG유플러스입니다.
사실 LG는 악명이 높았습니다.
스마트폰 이전시절부터 유심으로 통신을 하는 시스템이 아니었고 (완벽한 3G가 아니었습니다.)
그에 따른 통신의 장애와 지하에서 안 터지는 고질적인 문제등 개선할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죠 그랬던 LG도 LTE때부턴 정말 칼을 갈았죠 공격적인 투자로 주파수 확보부터 통신개선, 고객들에게 멤버십 혜택이나 많은 것들을 투자해서 지금은 통신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심지어 산골이나 외지에는 KT보다 더 원활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다만 생뚱맞게 도심 한가운데서, 화장실 같은 데로 갔을 때 간혹 통신이 안 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아직도 한 번씩 전체 통신장애가 있기도 한건 안 비밀)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통신환경은 SK> LG> KT 순으로 정리해 볼 수 있겠습니다.
본인이 생활하는 환경과 지역에 따라서 분명히 달라지기도 하니 절대로 절대적인 내용은 아닙니다.
대체적인 참고 사항으로만 부탁드립니다.
통신사별고객혜택
다음은 고객들에게 돌려주는 혜택 부분입니다.
폰 구매 시에 가격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도 있겠네요 기기변경부터 보겠습니다.
SK는 기변시에 지원이 많지 않습니다.
1위 통신사답게 본인들이 "갑"입니다.
고객이 빠져나가는 걸 크게 아쉬워하지 않는 거 같아요 사실 결합받고 있는 사람들은 지원이 많이 없더라도 기기변경을 선택하기 때문에 SK입장에선 크게 아쉬워 하지 않습니다.
기변시에 지원이 제일 적습니다.
KT는 기변시에 지원이 가장 많은 통신사입니다.
아무래도 LG에 비해 요즘 가입자가 떨어지다 보니 그런 듯합니다.
기기변경할 때 가장 지원이 많아서 이탈이 적은 편이긴 합니다.
(근데 신규 유입이 많진 않습니다)
LG는 딱 중간에 있습니다 SK에 비해선 많고 KT에 비해선 아주 조금 떨어지긴 합니다.
특수한 상황에 따라서 KT보다 좋은 경우가 있기는 한데 제한적입니다.
KT> LG> SK 순으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기변시엔 KT가 가장 유리하겠네요 통신사 변경 시엔 LG> SK> KT 순으로 정리가 가능합니다.
LG로 이동 시에 혜택이 제일 좋고 다음은 SK KT 순입니다.
SK로 통신사를 바꿨을 때 혜택이 좋다 보니 기변에서 별로 좋지 않아도 SK로 신규 유입되는 고객이 많아서 고객 손실이 별로 없는듯합니다.
각통신사별 인터넷(유선)비교
마지막으로 유선(인터넷 + TV)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유선은 요금만 비교해 봤을 때 KT가 가장 비싸고 SK랑 LG는 가격면에선 동일합니다.
다만 서비스면에서 KT는 방방곡곡 설치가 안 되는 지역이 별로 없습니다.
SK랑 LG는 인터넷 설치가 불가한 지역이 굉장히 많고 살짝만 시골로 들어가도 SK랑 LG는 설치가 잘 안 됩니다.
그래서 통신사는 SK나 LG를 쓰고 있는데 집 인터넷은 KT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희 본가도 그렇습니다)
아무래도 KT가 국가에서 운영하는 회사다 보니 유선 통신망을 이리저리 설치해 놔서 어디든 설치가 잘 되는 거겠죠 다만 요금은 타사에 비해서 조금은 비싼 편이지만 그만큼 TV에 채널도 많고 요금 차이가 엄청 큰 편은 아니라서 감안하고 사용하기엔 나쁘지 않습니다.(넷플릭스도 가능하고요)
LG는 국내 IPTV 중 넷플릭스를 가장 먼저 들여온 회사입니다.
넷플릭스와의 협약으로 집에 TV셋톱으로 넷플릭스를 볼 수 있게 만들어서 꽤 많은 가입자를 모집했었죠 지금은 KT도 가능하지만 처음 몇 년 간은 LG로만 넷플릭스를 볼 수 있어서 가입자가 꽤나 많이 늘었을 걸로 예상됩니다.
반면에 SK는 아직도... sk셋톱으론 넷플릭스를 볼 수 없습니다.
애플셋톱을 이용해서 간접적으론 시청이 가능하지만 그만큼 비용이 추가되기 때문에 그것도 고객이 다 감내해야 되는 내용이죠 티브이 채널도 그렇고 아직 SK는 조금 부족한 것 같습니다.
인터넷과 TV편의성을 따져보면 KT> LG> SK 순으로 정리를 해볼 수 있겠습니다.
전체적으로 비교를 해서 순위도 매겨볼까 했는데 각 통신사마다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순위를 매기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상황에 맞게끔 선택을 잘하셔서 사용하시는 게 고객님들께 유리할듯합니다.
그러려면 일단 휴대폰 상담 시에 고객님의 상황을 잘 설명하시고 꼭 필요한 기능과 고객님이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는지 잘 설명해 주시면 상담받으시는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통신사 장단점 비교 잘해보시고 휴대폰 구매하실 때 도움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쉽게 알려주는 남자 쉽알남 이었습니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폴드&플립5 사전예약 개통 정리완료 (0) | 2023.08.10 |
---|---|
안녕하세요 쉽알남입니다 (0) | 2023.08.07 |
아이폰,갤럭시S시리즈,폴드,플립 은 신규개통이 안됩니다(feat.휴대폰깡 휴대폰대출) (2) | 2023.06.08 |
엘지는 휴대폰 사업을 왜 접었을까? (0) | 2023.06.06 |
통신매장에선 뭘할까?(휴대폰 판매점에서 하는일) (0) | 2023.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