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급제폰은 진짜로 저렴할까?
본문 바로가기
휴대폰구매팁

자급제폰은 진짜로 저렴할까?

by 쉽게알려주는남자 2023. 5.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쉽게 알려드리는 남자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하시는 자급제 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급제 폰이란?

자급제란? USIM칩과 단말기 구매를 고객의 재량에 맡기는 제도를 자급제라고 합니다.

 

보통 LTE요금제를 쓰고 계시거나 현재 요금이 저렴한 분들이 자급제폰을 구매하셔서 유심기변만 해서 사용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면 알려진 것처럼 자급제폰이 정말로 많이 저렴할까요?

 

비교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LTE폰의 경우에 최저 33,000원 요금제를 많이 사용하시는데 선택약정을 넣으면 25% 할인받아서 24,750원이 나오게 됩니다. LTE폰 중에 가성비가 좋은 갤럭시 A23 모델이 출고가 374,000원입니다.

374,000 + (24,750*24) = 968,000원 2년 사용 요금과 자급제로 폰값을 더했을 때 요금이 총 968,000원입니다.

 

자급제로 구매하지 않고 일반 매장방문 시 A23을 무료로 받았다고 했을 때는 33,000*24 = 792,000원 2년간 기기값 없이 기본료만 내면 되니 최종 들어가는 비용은 총 792,000원입니다.

간단한 예를 들었지만 그냥 봐도 자급제 보다 매장에서 구매하시는 게 더 저렴하게 나옵니다.

 

자급제 968,000원 >>>> 매장구매 792,000원 매장이 이득!!

 

5G 비교

갤럭시 S23 기준 자급제

출고가 1,155,000원 + (24,750*24) = 1,749,000원

 

매장

공시지원금 + 지원(70만 원)

455,000원 + (85,000*6 + 47,000*18) = 1,811,000원

 

매장에서 사는 게 62000원 정도가 더 비쌉니다.

 

매장에서 구매 해야 하는이유

그렇다면 62,000원을 저렴하게 사기 위해서 자급제를 구매해야 되냐? 저는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일단 매장에서 구매하시면 필름이나 케이스 등을 지원해 주는 경우가 많고 폰 구매 후 정보 옮기고 사후 관리등 여러 가지 지원들을 해줍니다.

그런 것들을 안 받고 혼자서 다 할 수 있다면 구매하셔도 무방합니다.

근데 대부분 혼자서 처리하는 게 어려운 분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요금제도 보면 5G 같은 경우엔 47,000원 요금제의 경우엔 데이터 사용량도 LTE33,000원 요금제 보다 사용량도 훨씬 많이 줍니다.

이렇게 봤을 때 꼭 자급제가 좋다고 말씀드리긴 굉장히 애매하죠?

 

물론 단적으로 출고가도 그대로 넣고 설명을 드리긴 했습니다만 자급제로 할인받아도 카드를 쓰는 조건으로 10~15% 정도 할인이 됩니다.

그렇다면 10만 원 내지 15만 원 정도가 더 저렴해지는데 카드를 사용해야 할인되는 경우도 많고 매장에서도 조건에 따라 추가적인 지원이 더 가능한 경우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내가 알아서 하기 힘든 분들은 매장을 이용해 주시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몇 만 원 때문에 그 고생을 하시기엔 너무 힘들지 않을까요?)

 

구매자가 잘 판단하셔서 나에게 더 유리한 방법으로 택하시는 게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주의사항

아 그런데 마지막으로 한 가지 자급제 + 알뜰폰 조합은 못 이깁니다.

자급제폰 할인받아서 구매 + 알뜰폰 개통 조합은 도저히 가격 비교가 안됩니다.

 

결합할인을 아무것도 안 받고 있고 데이터도 많이 사용하는 편이 아니라면 자급제 + 알뜰폰 조합으로 이용해 보세요 월 요금을 확 낮출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오늘도 쉽게 알려주는 쉽알남 이었습니다.

반응형

댓글